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28)
[050929] Mark Wallace의 Escapist 두번째 컬럼 "We the Avatars"입니다. http://www.escapistmagazine.com/issue/11/19 *아이템 현금거래 내지 현거래 친화적 VW 체제가 운영사가 행사해 온 종래의 MMORPG의 경제 주권에 미치거나 미칠 파급효 및 그로인해 변모될지 모를 향후 MMORPG 경제구조 속 아바타 군상에 대한 전망 *엉뚱할 지 몰라도 위 글을 읽고 든 생각 중 하나는 아바타의 피로도 혹은 슬리핑(or 드리밍) 시스템 도입 필요에 대해 한 발 더 다가선 느낌..
[050929] 권리금설이 나오기까지 >공정위에서도 1년여를 끌어왔던 일이었는데 이번 심사는 이미 결론을 내려놓은 상태에서 짜맞춰가는듯한 인상을 줍니다. > >사실 개인적으로는 lovol님의 권리금설을 읽었을때에도 비슷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다만 방향이 다른뿐이라고 생각했는데요... ---- 조금 부연 설명드리면, 권리금설은 갑자기 제 머리 속에서 나왔거나, 미리 어떤 정책적 결론(혹은 해법)을 두고 끼워맞추기 위해 고안된 학설은 아니고, 2002년부터 aragorn님을 비롯한 노스모크 위키즌, 지리즈님 외 다수의 KLDP.org 네티즌들 그외 Inews24, 플레이포럼 독자들과 공방을 거치며 나눈 토론과 댓글, 그리고 아이디어가 부딛쳐서 생겨난 결과물입니다. (그런 연유로 그분들의 이름을 제 논문 첫장에 모두 올렸습니다) 아래 링크된 페이..
[050920] Permaculture & LETS 추석 연휴 기간 중 고향 부산을 찾은 김창준님(애자일 컨설팅 대표, 한국 eXtreme Programming 사용자 모임 운영자) 내외분을 만나 담소를 나누었습니다. 김창준님은 국내 최대 위키위키 공동체 노스모크의 개발자신데, 노스모크에서 분파한 lovol.net도 그의 손길로 완성된 터라 각별한 만남이었습니다. 퍼마컬쳐 디자인학교에서 오프라인 지역화폐 혹은 다자간 품앗이제도인 LETS를 접하고 문화적 충격을 받아 이를 온라인 위키공동체 -레츠 위키(http://metawiki.net/wiki/lets/ )로 접목 시도 중이라고 하였습니다. LETS는 Local Exchange Trading System의 약자로서, 일전에 테라노바 블로그에서 스치듯 등장한 적 있는 단어임이 떠올라서 다시금 뒤져 보았습니..
[050914] 한양대 현금거래 모의재판 시나리오 한양대 지적재산권법학회에서 9. 9. 실시한 모의재판 시나리오(대본)입니다. 모의재판 사건개요 http://zeraw.or.kr/QSubs/?pszMainMenu=justice&pszSubMenu=outline (시나리오 자료를 공유하여 준 담당 학회원들 및 저의 부탁을 중간에서 중개하여 주신 윤선희 지도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 첫째 쟁점인 유저 창작 아이템의 저작권 귀속 문제는 국내 현실과는 다소 괴리된 (미국의 세컨드 라이프에 어울릴순 있어도) 가공의 사안이었는데 이는 둘째 쟁점인 아이템 현금거래시 계정압류 문제가 실은 지적재산권 이슈가 아니라는데(민사법학회 혹은 공정거래법학회가 더 적합할 듯) 기인합니다. 모의재판 주최가 지재권학회였던 까닭에 저작권 이슈를 넣기위해 둘째 쟁점에 앞세워 첫째 쟁점을..
[050829] SOE Station Exchange 첫 한달 운영실적 관련 보도 - 게임스팟 2005. 8. 26. Sony scores with Station Exchange SOE's official auction system is a first for a big publisher, and with more than $180,000 in transactions so far, it has proven a success. http://www.gamespot.com/news/2005/08/26/news_6131956.html or http://www.gamespot.com/pc/rpg/everquest2/news_6131956.html ps. Dr. Castronova의 평도 함께 실려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