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드라미 들마꽃 (71) 썸네일형 리스트형 [051226] J, Cohen: The Situated User The Place of the User in Copyright Law JULIE E. COHEN Georgetown University Law Center http://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814664 The situated user, who engages cultural goods found within the context of her culture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ranging from consumption, communication, self-development to creative play, and whose activities are the vehicle through which copyrigh.. [060808] G. Lastowka: Digital Attribution: Copyright and the Right to Credit Digital Attribution: Copyright and the Right to Credit F. GREGORY LASTOWKA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 School of Law-Camden July 14, 2006 http://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917396 디지털 시대에 있어, 저작자에 대한 모티브로 복제(금지), 전송(금지), 2차적 저작물(금지)권과 같은 재산권적 권리의 다발보다 그 인격권적인 측면의 권리화가 요청된다는 내용. 참고로 위 논의는 미국의 copyright 관련 토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우리 저작권법 및 우리법에 영향을 준 유럽쪽 저작권법제에는 이미 저작재산권 외.. [060802] 웅거의 정치철학과 MMO Play Roberto Unger가 한 The Future of the Left and its Economic Policy란 제목의 영국 LSE(London School of Economics ) 강연록을 보았는데, http://www.law.harvard.edu/faculty/unger/english/docs/MILIBAND_LECTURE.doc 나의 주된 관심이 MMO에 푹 담겨 있어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웅거의 real man, god-like human은 자아 발견으로서 avatar(god onto the earth)에, save time by repeating이 아닌 save time by not repeating은 현거래와 오토에, 인간 상상력과 협동을 통한 혁신에 대한 강조부분은 work/consum.. [060801] Furniture of social life & Deep play Julian Dibbell을 만나 cyber에 관심을 가지게 된 Lessig과 유사하게 현재의 MMO play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 여정이었는데, 톨킨을 따라 길드사회주의자인 G. D. H. Cole, 비폭력 생태주의 아나키스트이자 디자이너인 William Morris를 만나고 다시 거슬러 중세를 방랑하고 신화와 무속의 던전을 기웃대던 중 어느덧 미래를 담금질하는 리프킨과 웅거와 맞닥들이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아마도 저와 조금은 비슷한 맥락에서 이들을 자신의 블로그에 소개한 것 아닌가 하는 [game] player들의 포스팅입니다. 구글 검색과정에서 발견. The Self Unbound - Roberto Unger (2005. 11. 8.) http://theplayethic.typepad.com/pl.. [060718] Julian Kücklich, 가람해무 Play and Playability as Key Concepts in New Media Studies Julian Kücklich Marie Curie Fellow STeM Centre Dublin City University http://www.playability.de/Play.pdf 접근성이 캐주얼을 결정한다. 블로거 가람해무, 어설픈 초보기획자의 게임이야기!! http://blog.naver.com/kaelove1234/20026126231 첫번째 글은 읽고 있으며, '플레이'란 요소에 관심을 가져온터라 흥미롭게 보이며, 두번째 글은 다 읽었는데, mmorpg의 외부성?!에 대한 대안모색의 필요성에 관한 ppt라 합니다. (ucc부분은 다소 갸우뚱, ucc가 그런 것이었는지..) 외부성 해소를 ..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