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vatars are created free and equal in rights. Special powers or privileges shall be founded solely on the common good, and not based on whim, favoritism, nepotism, or the caprice of those who hold power. Those who act as ordinary avatars within the space shall all have only the rights of normal avatars.
1. 아바타는 탄생의 자유 및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특권이나 특혜는 권력을 가진 자들의 자의나 기호, 친분관계 혹은 재량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가상사회 공공의 이익에 기초하여야만 한다.
2. The aim of virtual communities is the common good of its citizenry, from which arise the rights of avatars. Foremost among these rights is the right to be treated as people and not as disembodied, meaningless, soulless puppets. Inherent in this right are therefore the natural and inalienable rights of man. These rights are liberty, property, security, and resistance to oppression.
2. 가상사회의 목표는 그 시민들의 공공 이익이며, 여기에서 아바타의 권리가 도출되어진다. 아바타의 권리 중 최우선의 것은 실체가 없고, 무의미하며, 영혼이 없는 꼭두각시로서가 아니라 사람으로서의 대우를 받는 것이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아바타의 권리에는 천부적이고 양도되어질 수 없는 자유권, 재산권, 안전권, 압제에 대한 저항권과 같은 인권이 담겨지게 된다.
3. The principle of all sovereignty in a virtual space resides in the inalterable fact that somewhere there resides an individual who controls the hardware on which the virtual space is running, and the software with which it is created, and the database which makes up its existence. However, the body populace has the right to know and demand the enforcement of the standards by which this individual uses this power over the community, as authority must proceed from the community; a community that does not know the standards by which the administrators use their power is a community which permits its administrators to have no standards, and is therefore a community abetting in tyranny.
3. 가상공간의 주권에 관한 원칙은 다음과 같은 불변의 사실, 즉, 가상공간을 운영되게 하는 서버(하드웨어) 및 그 공간을 창조해내는 소프트웨어 그리고 그 공간을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제하는 그 누군가가 존재한다는 바뀌어질 수 없는 사실에 근거한다. 하지만, 아바타들 또한 그 통제자의 그 가상사회에 대한 권력행사의 기준에 대하여 알 권리 및 그것의 집행을 요구할 권리를 갖는다.
4. Liberty consists of the freedom to do anything which injures no one else including the weal of the community as a whole and as an entity instantiated on hardware and by software; the exercise of the natural rights of avatars are therefore limited solely by the rights of other avatars sharing the same space and participating in the same community. These limits can only be determined by a clear code of conduct.
4. 아바타에겐 가상사회의 공공선 내지 다른 아바타들을 해치는 것이 아닌 그 무엇이든 할 자유가 있다. 위와 같은 아바타의 천부적 권리의 행사는 같은 가상공간을 함께 공유하고 그 가상사회에 참여하는 다른 아바타들의 권리에 의하여만 제한될 따름이다. 이러한 제한사항은 명료한 품행규약(code of conduct)의 형태로 규정되어야만 한다.
5. The code of conduct can only prohibit those actions and utterances that are hurtful to society, inclusive of the harm that may be done to the fabric of the virtual space via hurt done to the hardware, software, or data; and likewise inclusive of the harm that may be done to the individual who maintains said hardware, software, or data, in that harm done to this individual may result in direct harm done to the community.
5. 품행규약은 가상사회나 그 사회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운영하는 운영자에게 해를 입히는 행동 및 언행에 대하여만 제재를 가할 뿐이다.
6. The code of conduct is the expression of the general will of the community and the will of the individual who maintains the hardware and software that makes up the virtual space. Every member of the community has the right to contribute either directly or via representatives in the shaping of the code of conduct as the culture of the virtual space evolves, particularly as it evolves in directions that the administrator did not predict; the ultimate right of the administrator to shape and define the code of conduct shall not be abrogated, but it is clear that the administrator therefore has the duty and responsibility to work with the community to arrive at a code of conduct that is shaped by the input of the community.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himself, the administrator would be damaging the community itself if he failed in this responsibility, for abrogation of this right of avatars could result in the loss of population and therefore damage to the common weal.
6. 품행규약은 가상사회 및 그 사회를 운영하는 운영자의 일반 의지의 표현이다. 가상사회의 구성원인 개개의 아바타들은 직접민주적 방식 또는 대표선출의 방식을 통해서 가상공간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된 문화(운영자가 예측하기 어려운)를 바탕으로 하는 품행 규약의 제정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물론 품행규약의 제정 및 정립에 있어 운영자측이 궁극적인 집행권을 갖으며 이는 포기될 수 없는 것임은 사실이나, 그렇기에 운영자측 또한 그 가상사회의 의견이 수렴된 품행규약을 만들기 위하여 가상사회 구성원들과 협력할 의무와 책임을 진다는 점 또한 분명하다.
7. No avatar shall be accused, muzzled, toaded, jailed, banned, or otherwise punished except in the cases and according to the forms prescribed by the code of conduct. Any one soliciting, transmitting, executing, or causing to be executed, any arbitrary order, shall be punished, even if said individual is one who has been granted special powers or privileges within the virtual space. But any avatar summoned or arrested in virtue of the code of conduct shall submit without delay, as resistance constitutes an offense.
7. 그 어떤 아바타도 품행 규약 상에 규정된 내용 및 절차에 의하지 않고서는 고소, 채금, 무장해제, 압류, 추방, 기타 처벌되지 아니한다. 이 점을 GM도 준수하여야 한다. GM에 의한 자의적인 처벌권 행사는 용납되지 아니한다. 다만 품행규약에 따라 죄를 진 아바타는 정당한 규약 집행권자에 대하여는 즉시 복종하여야 하며, 저항은 추가적인 규범 위반으로 다스려 진다.
8. The code of conduct shall provide for such punishments only as are strictly and obviously necessary, and no one shall suffer punishment except it be legally inflicted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a code of conduct promulgated before the commission of the offense; save in the case where the offense endangered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virtual space by attacking the hardware or software that provide the physical existence of the space.
8. 품행규약에는 필요 최소한도의 처벌만을 엄격한 조건하에 규정하여야 하며, 어떤 아바타도 풍속위반을 범할 당시의 품행규약 상에 규정된 처벌내용을 초과하여서 처벌되지 아니한다.
9. As all avatars are held innocent until they shall have been declared guilty, if detainment, temporary banning, jailing, gluing, freezing, or toading shall be deemed indispensable, all harshness not essential to the securing of the prisoner's person shall be severely repressed by the code of conduct.
9. 유죄 확정 이전에는 어떤 아바타도 무죄로 추정된다. 압류, 잠정적 추방, 구금, 동결이 불가피한 경우에도, 불필요하거나 남용적인 아바타인권 제한적 조치는 품행규약에 의하여 엄격히 제한되어야 한다.
10. No one shall be disquieted on account of his opinions, provided their manifestation does not disturb the public order established by the code of conduct.
10. 모든 아바타는 품행규약상 규정된 공공의 질서를 위태롭게 하지 않는 한 의사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11. The free communication of ideas and opinions is one of the most precious of the rights of man. Every avatar may, accordingly, speak, write, chat, post, and print with freedom, but shall be responsible for such abuses of this freedom as shall be defined by the code of conduct, most particularly the abuse of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space or the performance of a given avatar's representation of the space.
11. 모든 아바타는 의사표현의 자유에 따라, 말하고, 읽고, 쓰고, 채팅하고, 게시판에 글올릴 자유가 보장된다. 그러나 그러한 자유의 남용으로 인한 책임도 품행규약에 명기되어야 한다.
12. The security of the rights of avatars requires the existence of avatars with special powers and privileges, who are empowered to enforce the provisions of the code of conduct. These powers and privileges are therefore granted for the good of all and not for the personal advantage of those to whom they shall be entrusted. These powers and privileges are also therefore not an entitlement, and can and should be removed in any instance where they are no longer used for the good of all, even if the offense is merely inactivity.
12. 아바타의 권리 보장을 위하여는 품행규약을 집행할 권한을 가진 특별한 아바타(GM)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특권은 가상사회 구성원의 신임에 기초한 만큼 그 아바타 개인을 위해서가 아니라 가상사회 공공선을 위하여 행사되어야 한다. 만약 그의 권한행사 내지 불행사가 더이상 공공선에 무익할 경우 그에게 부여된 특권은 박탈되어질 수 있어야 한다.
13. A common contribution may, at the discretion of the individual who maintains the hardware, the software, and the data that make up the virtual space, be required in order to maintain the existence of avatars who enforce the code of conduct and to maintain the hardware and the software and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virtual space. Avatars have the right to know the nature and amount of the contribution in advance, and said required contribution should be equitably distributed among all the citizens without regard to their social position; special rights and privileges shall never pertain to the avatar who contributes more except insofar as the special powers and privileges require greater resources from the hardware, software, or data store, and would not be possible save for the resources obtainable with the contribution; and as long as any and all avatars are able to make this contribution and therefore gain the powers and privileges if they so choose; nor shall any articles of this declaration be contingent upon a contribution being made.
13. 가상사회의 영속적인 유지를 위하여 혹은 품행규약의 집행하기 위한 아바타의 존속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세금 부과 등 징수행위가 요구될 경우, 모든 아바타는 사전에 그 징수행위의 성격 및 그 소요양에 대하여 알 권리가 있다. 특권에 따른 차별 내지 징수행위에 대한 반대급부로서의 기회차등은 합리적이어야 한다.
14. The community has the right to require of every administrator or individual with special powers and privileges granted for the purpose of administration, an account of his administration.
14. 가상사회 구성원은 GM이나 운영자에 대하여 그의 운영에 따른 책임을 요구할 권리를 가진다.
15. A virtual community in which the observance of the code of conduct is not assured and universal, nor the separation of powers defined, has no constitution at all.
15. 품행규약이 보장되지 않거나, 권한 분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가상사회는 헌법이 전혀 없는 무정부상태라고 할 것이다.
16. Since property is an inviolable and sacred right, and the virtual equivalent is integrity and persistence of data, no one shall be deprived thereof except where public necessity, legally determined per the code of conduct, shall clearly demand it, and then only on condition that the avatar shall have been previously and equitably indemnified, saving only cases wherein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space is jeopardized by the existence or integrity of said data.
16. 재산권은 불가침의 신성한 권리이므로, 가상의 재산 역시 그 데이터의 무결성과 지속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공공의 필요와 품행규약상의 규정에 의하여 명백히 규정된 바에 따르지 않고서는 그 어떤 아바타도 그 가상재산을 그 뜻에 반하여 박탈당하지 아니한다. 다만 서버나 소프트웨어의 기계적, 물리적 결함에 의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7. The administrators of the virtual space shall not abridge the freedom of assembly, save to preserve the performance and continued viability of the virtual space.
17. 가상공간의 운영자(집행자)는 가상공간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가 아닌한 아바타들의 집회의 자유를 제약해서는 아니된다.
18. Avatars have the right to be secure in their persons, communications, designated private spaces, and effects, against unreasonable snooping, eavesdropping, searching and seizures, no activity pertaining thereto shall be undertaken by administrators save with probable cause supported by affirmation, particularly describing the goal of said investigations.
18. 아바타들은 그들이 동의하지 않은 한, 부당한 해킹이나, 도청이나, 검색 또는 압류를 당함이 없이 그 자신의 안전을 확보하고 교류를 할 권리가 있다.
The enumeration in this document of rights shall not be construed to deny or disparage others retained by avatars.
아바타의 자유와 권리는 위 권리장전에 열거되지 아니한 이유로 경시되지 아니한다
- January 26th, 2000 | |